IT/버추얼박스(4)
-
가상머신 버추얼박스 : CentOS 네트워크 연결(X-Windows)
가상머신에 설치한 리눅스 네트워크 연결하기 - IP는 자동으로 할당하며, X-Window 환경에서 설정하겠습니다. - 터미널 환경에서의 설정은 검색하면 아주 많이 나와요. 1. 버추얼 박스 실행 -> 관리자 창에서 '그림'과 같이 해주세요. 2. 현재 PC에 연결되있는 네트워크를 설정해주세요. - 저는 도서관에서 노트북으로 무선 연결 중입니다. 노트북의 무선 랜 드라이버를 선택했습니다. - 관리자 창에서 설정이 끝나면, CentOS를 부팅합니다. 3. 네트워크 연결 클릭 4. 기본 포트를 설정합시다. - IP는 별도로 설정하지 않겠습니다. 5.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 - 네트워크 서비스 활성화합니다. 6. 정상 연결되면 그림처럼 x 마크가 사라지며, 브라우저를 통한 웹 서핑이 가능해집니다.
2014.04.30 -
가상머신 버추얼박스 : CentOS 설치
버추얼 박스의 가상 하드에 CentOS를 설치합니다. - 가상 하드 설치 및 CentOS 다운로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. 1. 다운로드 받은 CentOS 삽입 - 그림을 보고 저장소에 이동하셔서 다운로드 받은 CentOS 이미지 파일을 보조드라이브에 삽입해주세요. 1) 저장소 클릭 2) CentOS 삽입- CD-Rom이나 DVD-Rom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호스트 드라이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 3) OS가 보조드라이브에 정상 삽입된 것을 확인 후 '확인'을 눌러 나갑니다. 2. 호스트 키 설정 - CentOS 설치 전에 우선 호스트 키를 설정합니다. - 호스트 키는 버추얼 박스 사용시 기본 단축키로 사용되니 사용에 편한 키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 - 저는 겹치지 않게 조합키(shift+Lctrl..
2014.04.11 -
가상머신 버추얼박스 : CentOS 다운로드 및 가상 하드 설치
가상머신 버추얼박스에 가상 하드 드라이브를 생성 후 CentOS 설치하기 1. CentOS 다운로드 가. 아래 주소로 접근한다. 주소 : http://www.centos.org/download/ 나. DownLoad Now 클릭 다. 웹페이지가 뜨면 원하는 링크를 클릭해 다운로드 받는다. - 저는 가장 위에 있는 6.5(64bit)를 받았습니다. (약 4.2G(용량)) 2. 버추얼박스에 가상머신 생성하기 - CentOS를 설치할 가상 하드드라이브를 생성해야 합니다. 가. 버추얼박스 실행 후 새로만들기 클릭 나. 이름 및 운영체제 설정 -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이름, 종류, 버전을 선택해주세요. - 이름 : 원하는 가상머신의 이름을 입력해주세요. - 종류 : 리눅스를 설치할 것이니 Linux를 선택. -..
2014.04.09 -
가상머신 버추얼박스 : 설치하기
버추얼 박스 설치하기1. 아래 주소로 접근합니다. 주소 : 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 2. 현재 사용중인 os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. - 전 윈도우에 설치할 것이라 윈도우 버전을 다운로드 하였습니다.(약 100M(용량)) 3.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운 받은 install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합니다. - 다른 설정하지 않고 다음, 다음, 다음 하시면 됩니다. - 설치 진행 중 드라이버 설치관련 경고창이 호출됩니다. 설치하시면 됩니다.(USB, 네트워크 사용시 필요합니다.) 4. 설치완료 -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. - 버추얼박스 실행화면
2014.04.09